Article

일개병원 수술 예정 환자의 수술동의서 용어에 대한 인지, 용어이해도와 설명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

김영경1, 정인숙2,*
Young-Kyung KIM1, Ihn Sook JEONG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울산 굿모닝병원 간호부
2부산대학교 간호대학
1Department of Nursing, Ulsan Good Morning Hospital
2College of Nurs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교신저자: 정인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Tel: 051-510-8342. Fax: 051-510-8308. e-mail: jeongis@pusan.ac.kr

ⓒ Copyright 2015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pr 21, 2015; Revised: May 20, 2015; Accepted: Jun 15, 2015

Published Online: Jun 30, 2015

요약

본 연구는 수술동의서에 기술된 용어에 대한 인지, 용어이해도와 설명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로, 2014년 7월 1일부터 2014년 8년 30일까지 울산에 소재한 일개 정형외과 병원에 수술을 목적으로 입원한 환자 24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수술동의서에 기술된 용어 중 설명을 들은 후 인지하고 있는 것은 10개 중 평균 6.24개였으며, 50대 이상(F=11.46, p<0.001), 중졸 이하(F=12.06, p<0.001)의 교육수준에서 낮게 나타났다. 용어에 대한 주관적 이해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73.90점이었고, 중졸 또는 고졸 이하는 대졸 이상(F=12.39, p<0.001)에 비해 낮았다. 용어에 대한 객관적 이해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89.2점이었고, 50대 이상(F=5.91, p<0.001), 중졸 이하(F=8.06, p=0.001)의 교육수준에서 낮게 나타났다. 설명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68.04점이었다. 설명만족도는 용어에 대한 인지(r=0.168, p=0.009), 용어에 대한 주관적 이해도(r=0.135, p=0.035)와 상관성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수술 전 동의서 작성에 앞서 설명을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술동의서에 기술된 용어 중 일부만을 알고 있으며, 주관적 이해도도 낮았으며, 이로 인해 설명만족도 또한 낮았다. 비록 수술동의서를 설명하고 서명을 받았다 하더라도 환자들이 잘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적절한 보충 설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is cross-sectional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the recognition, subjective understanding (SU), and objective understanding (OU) of the terms used in obtaining informed consent for surgery and also the levels satisfaction with the explanations (ES) provided in the informed consent process. Data a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answered by 243 patients who had orthopedic operations in South Korea in July to August, 2014. The mean number of terms recognized is 6.24, and lower in age over 50 years (F=11.46, p<0.001) and education level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ompared with college and higher (F=12.06, p<0.001). The mean SU was 73.90 out of 100 points and was lower in patients without a high school education than in those with a college education (F=12.39, p<0.001). The mean OU is 68.04 out of 100 points and lower in age over 50 years (F=5.91, p<0.001) and education level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ompared with college and higher (F=8.06, p=0.001). E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term recognition (r=0.168, p=0.009) and SU (r=0.135, p=0.03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edical personnel should monitor patients’ recognition,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satisfaction of the terms used in the consent process and give feedback to patients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satisfaction.

Keywords: 수술동의서; 용어; 인지; 이해; 설명만족도
Keywords: surgical informed consent; term; recognition; understanding; explanation satisfaction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8권 2호 모집


한국의료윤리학회지는 1997년에 창립된 한국의료윤리학회의 공식 학술지이자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서, 임상현장에서의 윤리, 의료윤리교육, 그리고 의학 및 생명공학 기술 발전으로 제기된 삶과 생명 문제에 대한 윤리적 ∙ 철학적 ∙ 법적 ∙ 사회적 성찰에 대한 여러 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연구 결과를 게재하고 있습니다.

 

■ 투고 형식 안내 ■

1. 주제

임상윤리, 의료윤리교육 및 생의학에서의 윤리 ∙ 철학 ∙ 법 ∙ 사회학과 관련된 주제이면서 다른 학술지에 발표되지 않은 글

 

2. 모집 기간

~ 2025년 4월 30일 수요일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공지사항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공지사항 링크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