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19, No. 3, 2016

Article
‘Neo-liberal Individualism’ and the Principle of Autonomy
‘신자유주의적 개인주의’와 자율성 존중의 원칙
Korean J Med Ethics 2016;19(3):267-281.
https://doi.org/10.35301/ksme.2016.19.3.267
HTML PDF PubReader
Exploration of the Biomedical Ethics Education Module Used in the UNESCO Bioethics Core Curriculum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을 활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의 모색
Korean J Med Ethics 2016;19(3):282-296.
https://doi.org/10.35301/ksme.2016.19.3.282
HTML PDF PubReader
Biomedical Ethics Awareness, Self-Esteem, Family Strengths between Nursing and Non-Nursing Students
간호학과 대학생과 비간호학과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
Korean J Med Ethics 2016;19(3):297-311.
https://doi.org/10.35301/ksme.2016.19.3.297
HTML PDF PubReader
Moral Distress Experienced by Nurses in South Korea: An Integrated Review
간호사가 경험한 도덕적 고뇌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국내문헌을 중심으로
Korean J Med Ethics 2016;19(3):312-327.
https://doi.org/10.35301/ksme.2016.19.3.312
HTML PDF PubReader
How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Nursing and Nurses’ Communication Styles Influence the Intention to Report Medication Errors
간호조직문화와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투약오류보고의도
Korean J Med Ethics 2016;19(3):328-339.
https://doi.org/10.35301/ksme.2016.19.3.328
HTML PDF PubReader
Levels of Concern and Other Factors Influencing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mong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수준 및 영향요인
Korean J Med Ethics 2016;19(3):340-357.
https://doi.org/10.35301/ksme.2016.19.3.340
HTML PDF PubReader
Ethical Responses to Public Health Emergencies: The 2015 MERS Outbreak in South Korea
공중보건 비상사태와 윤리적 대응: 2015년 한국 메르스 유행을 중심으로
Korean J Med Ethics 2016;19(3):358-374.
https://doi.org/10.35301/ksme.2016.19.3.358
HTML PDF PubReader
What Factors Promote Overtreatment in Korea?: Causative Considerations and Solutions to Overtreatment
무엇이 과잉진료를 부추기는가?: 과잉진료의 원인 고찰과 대책
Korean J Med Ethics 2016;19(3):375-389.
https://doi.org/10.35301/ksme.2016.19.3.375
HTML PDF PubReader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8권 2호 모집


한국의료윤리학회지는 1997년에 창립된 한국의료윤리학회의 공식 학술지이자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서, 임상현장에서의 윤리, 의료윤리교육, 그리고 의학 및 생명공학 기술 발전으로 제기된 삶과 생명 문제에 대한 윤리적 ∙ 철학적 ∙ 법적 ∙ 사회적 성찰에 대한 여러 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연구 결과를 게재하고 있습니다.

 

■ 투고 형식 안내 ■

1. 주제

임상윤리, 의료윤리교육 및 생의학에서의 윤리 ∙ 철학 ∙ 법 ∙ 사회학과 관련된 주제이면서 다른 학술지에 발표되지 않은 글

 

2. 모집 기간

~ 2025년 4월 30일 수요일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공지사항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공지사항 링크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