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머리-몸통 접합 수술의 거부감에 관한 규범적 분석과 평가

최신우 1 , * https://orcid.org/0000-0002-0408-7938
Sinu CHOI 1 , * https://orcid.org/0000-0002-0408-7938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동아대학교 생명의료윤리연구소 연구원
1Researcher, Center for Biomedical Ethics, Dong-A University
*교신저자: 최신우. 동아대학교 생명의료윤리연구소. Tel: 051-262-2770. Fax: 051-200-7015. e-mail: prospector8@hanmail.net

ⓒ Copyright 2019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an 23, 2019; Revised: Feb 13, 2019; Accepted: Mar 14, 2019

Published Online: Mar 31, 2019

요약

카나벨로 박사가 제안한 머리-몸통 접합 수술은 뇌가 손상되지 않은 머리에 뇌사자의 몸통을 이식하는 시술이다. 이 시술은 성공 가능성이나 효용 여부와 무관하게 다수의 사람들에게 심각한 거부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머리-몸통 접합 수술에 관해서 원론적 찬성론과 원론적 반대론을나누어 각각의 태도가 가진 거부감의 인지 구조를 분석하고 거부감의 근거를 탐색하는 것이다. 머리-몸통 접합 수술의 원론적 찬성론자들도 이 시술이 기술적으로 불완전하며 어떤 사회적 문제를 유발할지모르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 실행되는 것에 대해서는 거부감을 느낀다. 그러나 원론적 찬성론자들이 가지는 거부감의 근거들은 의료 기술과 사회 제도의 발달에 따라 해결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머리-몸통 접합 수술에 대한 원론적 반대론자들의 거부감은 이 시술로 인해 자아가 더 이상 동일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사라진다는 우려에서 비롯된다. 첫째, 어떤 원론적 반대론은 인간이란 본질적으로 몸통에 기반을 둔신체의 통합적 기능성이라고 보기에 몸통을 이식 주체로 삼지 않고 객체로 보는 머리-몸통 접합 수술은인간 유기체의 상실로 귀결된다고 우려한다. 둘째, 다른 원론적 반대론은 머리는 인격의 처소라고 보고몸통은 신체의 통합적 기능이 집약된 곳이라고 생각한다. 이 원론적 반대론에게 머리-몸통 접합 수술은인격과 신체 둘 중 하나를 포기하라는 종용이나 다를 바 없기에, 거부감은 그러한 딜레마에서 나오는반응이다. 그래서 원리적 반대론의 거부감은 원리적 찬성론과 상이한 자아관과 생명관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ABSTRACT

Cephalosomatic anastomosis, first proposed by Dr. Sergio Canavero, is a procedure to attach the body of a brain-dead person to the head of another person without damaging the brain. Many people find this procedure morally repulsive regardless of whether it is successful or usefu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both the reasons for cephalosomatic anastomosis and also the common experience of repulsion towards it. Opponents of cephalosomatic anastomosis seem to believe that the procedure results in the loss of either personal identity or bodily integrity, and the repulsion they feel is the emotional reaction to such a dilemma. Therefore, I argue that repulsion toward cephalosomatic anastomosis should be regarded as originating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lf-view and the viewpoint of life.

Keywords: 머리-몸통 접합 수술; 거부감; 안전성; 분배적 정의; 인간 동일성
Keywords: cephalosomatic anastomosis; repulsion; safety; distributive justice; human identity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8권 2호 모집


한국의료윤리학회지는 1997년에 창립된 한국의료윤리학회의 공식 학술지이자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서, 임상현장에서의 윤리, 의료윤리교육, 그리고 의학 및 생명공학 기술 발전으로 제기된 삶과 생명 문제에 대한 윤리적 ∙ 철학적 ∙ 법적 ∙ 사회적 성찰에 대한 여러 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연구 결과를 게재하고 있습니다.

 

■ 투고 형식 안내 ■

1. 주제

임상윤리, 의료윤리교육 및 생의학에서의 윤리 ∙ 철학 ∙ 법 ∙ 사회학과 관련된 주제이면서 다른 학술지에 발표되지 않은 글

 

2. 모집 기간

~ 2025년 4월 30일 수요일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공지사항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공지사항 링크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

[2025년 3월 임상사례] 실제 말기암 환자의 진료 과정을 통해 살펴본 한국의 사전돌봄계획 현황


2025년 3월 호(3월 31일 발행)에서는 특집호를 계획하고 있으며, 임상사례(Report)에 대한 논평을 받고 있습니다.

 - 임상사례에 대한 논평을 작성하시고자 하는 선생님께서는 논평자의 학문적 지견과 관점을 담아 특집논문을 논평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임상사례의 전체 본문은 공지사항 첨부파일 PDF로 올라와 있습니다.

 

공지사항 바로가기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