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에 대한 지식과 태도*
Received: Aug 11, 2017; Revised: Aug 17, 2017; Accepted: Sep 06, 2017
Published Online: Sep 30, 2017
요약
본 연구는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들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심 의에 대한 지식 수준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국내 대학원 석ㆍ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거나 과정을 수료한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 650명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발송하여 인터넷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연구자가 자체 개발한 구 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는 총 165명이었으며, 이 중 124개 자료가 최종 분 석되었다. 통계 분석은 IBM SPSS/WIN version 21.0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 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 자의 IRB 심의에 대한 객관적 지식은 24점 만점 기준 평균 16.01±4.04점(정답률 66.7%), 주관적 지식은 80점 만점에 평균 39.95±19.81점으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49±0.56점으로 보 통보다 약간 긍정적인 수준이었다. 간호학 및 보건학 전공자나 소속 기관에 IRB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최근 2년간 심의 신청 경험이나 연구 참여 경험, 교육 이수 경험이 있는 경우 IRB 심의에 대해 보다 높은 수준의 지식 및 태도를 보였으며, IRB 심의에 대한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r=.327, p<.001), 그리고 객관적 지식과 태도 간(r=.221, p=.014)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IRB 심의에 대한 지식 수준의 향상 및 긍정적인 문화 형성을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주제에 대한 보다 실제적인 교육 프로그램 및 안내의 제공 등 중재 방안이 필 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IRB 심의 준비에 있어 연구자들이 느끼는 어려움이나 교육 및 개선 요구 사항들을 확인함으로써 연구자들에게 실제적으로 필요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 무적인 개선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examine knowledge and attitudes of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on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review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structured questionnaires sent by email to 650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including 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A total of 165 researchers answered the survey, and 124 of these answer se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WIN version 21.0. The level of objective knowledge (mean score 16.01±4.04 out of 24; average correct answer 66.7%) and subjective knowledge (39.95±19.81 out of 80) was low. The attitude score was slightly more positive than the norm (3.49±0.56 out of 5). The knowledge and attitudes scores varied in accordance with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ch as education level, major, research experience, etc. The level of objective knowledge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subjective knowledge (r=.327, p<.001) and attitude (r=.221, p=.014).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