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노인의 죽음에 대한 수용적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종욱1, 우영미2,*
Jong-Wook LEE1, Young-Mi WOO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2매화종합사회복지관
1Ph.D. Candidat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Hansei University
2Maehwa Welfare Center
*교신저자: 우영미. 매화종합사회복지관. Tel: 031-393-3677. Fax: 031-392-6343. e-mail: kanghye295@hanmail.net

ⓒ Copyright 2016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pr 29, 2016; Revised: May 24, 2016; Accepted: Jun 02, 2016

Published Online: Jun 30, 2016

요약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에 대한 수용적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죽음에 대한 수용적 태도는 본인의 장례절차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었는지를 묻는 문항을 통해 조작화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가족, 친지, 친구, 이웃과의 왕래 및 연락빈도를 통해 조작화하였다. 분석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공동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201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국에서 표본 추출한 만 65세 이상 노인 10,451명이 본 연구의 분석표본이다. 분석 결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건강상태(β=.406, p<.001), 사회적지지(β=.343, p<.001), 교육연수(β=.128, p<.001), 배우자 유무(β=.124, p<.001), 만성질환 보유수(β=-.046, p<.001), 연령(β=.042, p<.001), 취업여부(β=.030, p<.001)로 나타났다. 또한 죽음에 대한 수용적 태도와 사회적 지지를 함께 투입했을 때, 죽음에 대한 수용적 태도의 영향력이 사라지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Z=7.652, p<.001). 이는 죽음에 대한 수용적 태도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사회적 지지라는 매개효과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죽음과 관련된 노년기 불안이나 우울 등의 부정적 심리상태를 사회적 지지를 통해 경감할 수 있고 나아가 노인의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를 향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ly persons. In particular this study considers the question of whether having thought about one's own funeral procedure affects his or her life satisfaction. The study also attempts to verify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focusing on the mediator of social support. A sample of 10,451 cases were drawn from the “2014 Profiles and Welfare Needs of Elderly Person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while an accepting attitude toward one's own death does not show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one’s life satisfaction, the completely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does have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an accepting attitude toward one’s own death has an indirec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only by changes in social suppo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rsons by providing professional programs that diminish their anxiety toward death.

Keywords: 노인; 죽음수용; 죽음불안; 삶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
Keywords: elderly persons; death acceptance; death anxiety;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