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

김아진1,*, 백진휘1
Ahjin KIM1,*, Jinhui PAIK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인하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응급의학교실
1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교신저자: 김아진. 인하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응급의학교실. Tel: 032-890-2310. Fax: 032-890-2314. e-mail: ermjin23@medimail.co.kr

ⓒ Copyright 2015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Mar 08, 2015; Revised: Mar 23, 2015; Accepted: Mar 25, 2015

Published Online: Mar 31, 2015

요약

취약함이란 그들 자신의 이익을 스스로 보호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응급의료에서의 취약함도 이와 다르지 않으며 특히 선택가능하지 않으나 환자의 경과나 결과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라고 가정한다. 응급의료에서 취약함의 요인들은 많으나 여기에서는 3가지를 논할 것인데, 관계적 자율성을 지지할 수 있는 가족의 부재, 응급대불제도의 불완전성, 의사결정능력의 결여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요인들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과 제도, 개념을 간단히 기술하면서 해당 사례에 적용을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요인들이 서로 독립적이지 않을 것이다. 해당 요인에 영향을 받는 환자들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고, 의학적 이익을 보호받기 위하여 보완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들에 대하여 논할 것이다.

ABSTRACT

Vulnerability population cannot protect their interest themselves. Vulnerability in emergency medicine is not different. We assum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tient’s course or patient’s outcome badly. We will discuss three factors of the vulnerability in emergency medicine. Those are the family without relational autonomy, the incompleteness of emergency subrogation payment system, and a lack of decision making capacity. We will describe theory, concepts, systems related factors and then apply them to our case. The factors are not independent. We discuss things to be made up for the autonomy and medical interest of the vulnerable patients that influenced by factors.

Keywords: 취약한 환자; 응급처치; 가족; 빈곤; 의사결정
Keywords: vulnerable population; emergency treatment; family; poverty; decision making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8권 2호 모집


한국의료윤리학회지는 1997년에 창립된 한국의료윤리학회의 공식 학술지이자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서, 임상현장에서의 윤리, 의료윤리교육, 그리고 의학 및 생명공학 기술 발전으로 제기된 삶과 생명 문제에 대한 윤리적 ∙ 철학적 ∙ 법적 ∙ 사회적 성찰에 대한 여러 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연구 결과를 게재하고 있습니다.

 

■ 투고 형식 안내 ■

1. 주제

임상윤리, 의료윤리교육 및 생의학에서의 윤리 ∙ 철학 ∙ 법 ∙ 사회학과 관련된 주제이면서 다른 학술지에 발표되지 않은 글

 

2. 모집 기간

~ 2025년 4월 30일 수요일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공지사항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공지사항 링크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