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간호실무 영역 개념으로서 도덕적 용기에 대한 설명모델*

문숙자1, 안숙희2,*https://orcid.org/0000-0002-1694-0027
Sukja MOON1, Sukhee AHN2,*https://orcid.org/0000-0002-1694-0027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마산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2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여성건강증진센터 교수
1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Masan University
2Professor, Center for Women's Health Studies and Promotion, College of Nurs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교신저자: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Tel: 042-580-8300, 042-580-8324. Fax: 042-580-8309. e-mail: sukheeahn@cnu.ac.kr

ⓒ Copyright 2019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Sep 24, 2019; Revised: Nov 01, 2019; Accepted: Dec 10, 2019

Published Online: Dec 31, 2019

요약

간호실무에서 간호사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윤리적ㆍ도덕적 문제들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덕적 판단하에 안전하고 수준 높은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간호사 자신의 도덕적 행위가 중요하며, 도덕적 고뇌를 해결하고 윤리적인 간호실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도덕적 용기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실무에서 도덕적 용기를 위해서 Kim의 실무영역현상 설명모델과 문헌을 토대로 도덕적 용기에 관한 구조모형을 개발하고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3개 도시에 소재하는 6군데의 병원으로부터 30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된 횡단적 조사연구 설계로 도덕적 용기의설명 변수들은 간호사의 근무경력, 간호조직문화, 인본주의, 공감이었다. 자료는 2017년 4월에서 6월까지 수집되었고 SPSS 20.0과 AMOS 22.0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모형은 모형적합도를 충족하였고(χ2/df=2.79, 기초적합지수[goodness of fit index, GFI]=.95, 오차 평균제곱의 제곱근[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08, 표준화된 평균제곱잔차의 제곱근[standardized root mean square residual, SRMR]=.04, 터커-루이스 적합지수[Tucker-Lewis index, TLI]=.90, 비교적합지수[comparative fit index, CFI]=.94, 간명적합지수[parsimonious normed of fit index, PNFI]=.60) 도덕적 용기에 관한 모든 설명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설명력이 43%였다. 간호조직문화는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었다. 도덕적 용기에 관한 이론적 및 철학적 근거에 기반한 개념개발과 간호사의 도덕적 용기와 도덕적 용기의 실천 간의 실증연구가 절실하며 간호사의 도덕적 용기를 위해서는 관계지향-혁신지향적 간호조직문화의 뒷받침과 근무경력별 인본주의, 공감 등의 도덕적 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nd test a structural model of moral courage based on Kim’s explanatory model of practice domain phenomena. For this study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arried out on 300 nurses recruited from six hospitals in South Korea. The endogenous and exogenous variables of this hypothetical model on moral courage were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humanism, and compas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June, 2017, and analyzed with SPSS 20.0 and AMOS 22.0. The model showed a good fit: χ2/df=2.79, goodness of fit index (GFI)=.95, root mean squared error of approximation (RMSEA)=.08, standardized root meansquared residual (SRMR)=.04, Tucker-Lewis index (TLI)=.90, comparative fit index (CFI)=.94, Parsimonious Normed of Fit Index (PNFI)=.60. All the explanatory variables for moral cour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innovation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was indirectly significant. The variables explained 43% of moral cour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body of nursing knowledge based on a model of moral courage as a concept of nursing practice domain. Effective strategies for promoting moral courage in nursing practice include relationshipinnovation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s and the training of nurses in moral competency through working experience.

Keywords: 용기; 조직문화; 인본주의; 공감
Keywords: courage; organizational culture; humanism; empathy


[2024년 12월 특집 논문] 헬스케어 AI 윤리에서 환자·시민 참여 모형: 주제범위고찰과 방법론적 검토에 기초하여


2024년 12월 호(12월 31일 발행)에서는 특집호를 계획하고 있으며, 특집논문에 대한 논평을 받고 있습니다.

 - 특집논문에 대한 논평을 작성하시고자 하는 선생님께서는 논평자의 학문적 지견과 관점을 담아 특집논문을 논평해 주시기 바랍니다.

 - 특집논문의 전체 본문은 첨부파일로 올라와 있습니다.

 - 논평 작성을 위해서 교정 및 편집 전 파일로 업로드되어 있으며, 작업이 완료되는대로 파일은 교체할 예정입니다.

공지사항 바로가기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