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veloping Role Concept in Medicine

강윤정 1 , *
Yunjung Kang 1 ,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가족사랑 서울신경정신과 자문위원
*가족사랑 서울신경정신과 자문위원. 02-2647-2611. wildflowerkang@hotmail.com

ⓒ Copyright 2009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Dec 31, 2009

요약

의료 전문인들에 대한 역할 개념의 탐색은 주로 철학적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다. 한국 의료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의료분야에 종사하는 전문인들의 역할 개념을 철학적, 심리학적 관점에서 탐색해보는 것이다. 철학적 관점에 근거해서 본 역할개념으로는 권위와 책임감, 심리학적 관점에서는 개인적 효능감, 대인관계 통제감, 사회정치적 통제감이 역할 개념으로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다섯가지 역할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권위는 환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특별한 정보와 지식를 소유한 의료 전문인으로서의 질로 정의되었고, 둘째, 책임감은 환자의 사회적 신분과는 무관하게 환자를 위해 제공해야 할 서비스를 공정하게 제공하는 의무감으로 정의되었으며, 셋째, 개인적 효능감은 의료 전문인의 심리적 특성의 하나로서 의료 전문인의 성격과 삶을 통제함으로써 얻게 되는 자기 성취감과 자기 확심감으로 정의되었다. 넷째, 대인관계 통제감은 환자나 환자의 가족등을 포함해서 의료 활동에 관여하는 모든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 다섯째, 사회정치적 통제감은 사회정치적 체계의 목표와 전문인으로서의 개인적 목표사이의 갈등 혹은 차이를 해결하는 능력으로 정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몇가지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 개념을 탐색하는 방법을 철학적 관점이외의 심리학적 관점 더 나아가 다른 관점들에 비추어 폭넓게 역할 개념을 조명해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다섯 가지 역할 개념을 기초로 해서 의료 전문인들의 역할 개념과 윤리의식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검사지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의료 전문인이외의 다른 전문가 집단의 역할 개념을 탐색하고 설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authority; responsibility; personal efficacy; interpersonal control; sociopolitical control
Keywords: 권위; 책임감; 개인적 효능감; 대인관계 통제감; 사회정치적 통제감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8권 2호 모집


한국의료윤리학회지는 1997년에 창립된 한국의료윤리학회의 공식 학술지이자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서, 임상현장에서의 윤리, 의료윤리교육, 그리고 의학 및 생명공학 기술 발전으로 제기된 삶과 생명 문제에 대한 윤리적 ∙ 철학적 ∙ 법적 ∙ 사회적 성찰에 대한 여러 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연구 결과를 게재하고 있습니다.

 

■ 투고 형식 안내 ■

1. 주제

임상윤리, 의료윤리교육 및 생의학에서의 윤리 ∙ 철학 ∙ 법 ∙ 사회학과 관련된 주제이면서 다른 학술지에 발표되지 않은 글

 

2. 모집 기간

~ 2025년 4월 30일 수요일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공지사항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공지사항 링크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