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IT검사로 평가한 의료윤리 교육의 효과-D대학 의과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익중1,*, 성낙진1, 정기훈1, 배근량1, 박건욱1, 김종필1, 김도균1, 홍성훈2
Ik-Jung KIM1,*, Nak-Jin SUNG1, Ki-Hoon JUNG1, Geun-Ryang BAE1, Keun-Uk PARK1, Jong-Pil KIM1, Do-Gyun KIM1, Sung-Hoon HONG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동국대학교 의과대학
2여주대학 보육학과
1Medical School, Dongguk University
2Department of Child Education, Yeoju College
*교신저자: 김익중, 경북 경주시 석장동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054-770-2406, 019-350-2406. microij@hanmail.net

ⓒ Copyright 2005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Dec 31, 2005

ABSTRACT

Medical ethics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evaluated just like other education programs. After 3 years of medical ethics education, we studied the effect of it by a questionnaire and DIT test developed by Rest.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revealed that the students had supportive attitude in general on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is composed of dilemma discussion. In addition, the DIT test showed that both the higher p-value group and the lower p-value group in the pre-educational test shifted toward the mean p-value after the education. This implicates that medical ethics education practically lowered the p-value of pre-test higher group(statistically meaningful) and raised the p-value of the pre-test lower group(statistically not meaningful). The lowering effect for the pre-test higher group could be explained by the “realization effect” of the education program. We think that the influences of discussion leaders and the natural lowering trends reported by other researchers could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effect”.

Keywords: 의료윤리; DIT검사; 딜레마토론; 도덕(윤리)판단 력, 현실화 효과
Keywords: DIT test; Medical ethics; Dilemma discussion; Realization effect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8권 2호 모집


한국의료윤리학회지는 1997년에 창립된 한국의료윤리학회의 공식 학술지이자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서, 임상현장에서의 윤리, 의료윤리교육, 그리고 의학 및 생명공학 기술 발전으로 제기된 삶과 생명 문제에 대한 윤리적 ∙ 철학적 ∙ 법적 ∙ 사회적 성찰에 대한 여러 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연구 결과를 게재하고 있습니다.

 

■ 투고 형식 안내 ■

1. 주제

임상윤리, 의료윤리교육 및 생의학에서의 윤리 ∙ 철학 ∙ 법 ∙ 사회학과 관련된 주제이면서 다른 학술지에 발표되지 않은 글

 

2. 모집 기간

~ 2025년 4월 30일 수요일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공지사항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공지사항 링크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

[2025년 3월 임상사례] 실제 말기암 환자의 진료 과정을 통해 살펴본 한국의 사전돌봄계획 현황


2025년 3월 호(3월 31일 발행)에서는 특집호를 계획하고 있으며, 임상사례(Report)에 대한 논평을 받고 있습니다.

 - 임상사례에 대한 논평을 작성하시고자 하는 선생님께서는 논평자의 학문적 지견과 관점을 담아 특집논문을 논평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임상사례의 전체 본문은 공지사항 첨부파일 PDF로 올라와 있습니다.

 

공지사항 바로가기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